2018년 연간 지가 4.58% 상승, 거래량은 전년 대비 3.9% 감소
지가 세종>서울>부산 順… 9.13 이후 시장안정, 금리인상 영향 등으로 11월부터 상승폭 둔화

1. 지가변동률 |
【 종합 】
□ 국토교통부(장관 김현미)는 2018년 한해 전국 지가는 4.58% 상승하여, ‘17년(3.88%) 대비 0.70%p 증가했다고 밝혔다.
ㅇ 지가는 9.13 대책 이후 시장안정, 금리인상 영향 등으로 10월 최고 기록 후 상승폭 둔화 추세이다.(10월, 0.46 → 11월, 0.42 → 12월, 0.34)
< 연도별(’02~’18) 연간 지가변동률 > |
< ‘18년 월별 전국 지가변동률 > |
![]()
|
![]()
|
< ‘10~’18년 연간 지가 및 소비자물가변동률 >
(지가지수 : ’16. 12. 1.=100)
구분 |
‘10. |
‘11. |
‘12. |
‘13. |
‘14. |
‘15. |
‘16. |
‘17. |
’18 |
|
전국 (지가지수) |
1.05 (90.481) |
1.17 (91.536) |
0.96 (92.411) |
1.14 (93.458) |
1.96 (95.295) |
2.40 (97.584) |
2.70 (100.218) |
3.88 (104.105) |
4.58 (108.877) |
|
|
수도권 |
1.02 |
1.16 |
0.68 |
1.04 |
1.91 |
2.19 |
2.53 |
3.82 |
5.14 |
지방 |
1.11 |
1.17 |
1.47 |
1.30 |
2.06 |
2.77 |
2.99 |
3.97 |
3.65 |
|
소비자물가* (전년대비) |
2.94 |
4.03 |
2.19 |
1.30 |
1.27 |
0.71 |
0.97 |
1.94 |
1.48 |
* 물가 상승을 감안하여 실질적인 지가 변동 상황 파악을 위해 비교지표로 활용
【 지역별 지가변동률 】
□ (시도별, %) 전년대비 수도권은 상승폭 확대(3.82→5.14), 지방은 상승폭 둔화(3.97→3.65) 추세이며, 세종(7.42), 서울(6.11), 부산(5.74), 광주(5.26), 대구(5.01) 순으로 상승했다.
ㅇ (수도권, 5.14%) 서울(6.11)은 전국 평균(4.58)에 비해 다소 높으나, 경기(4.42), 인천(3.59) 지역은 전국 평균(4.58)을 하회했다.
ㅇ (지방, 3.65%) 세종(7.42)이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, 부산, 광주, 대구, 제주 등 5개 시·도는 전국 평균(4.58)을 상회했다.
< ’18년 연간 지가변동률(%) >

□ (시군구별, %) 경기 파주시, 강원 고성군 등 남북경협 수혜지역 및 서울 용산구·동작구·마포구 등 개발호재지역 중심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,
ㅇ 울산 동구, 전북 군산시, 경남 창원성산구, 거제시, 창원진해구 등 산업 경기 침체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했다.
< ’18년 연간 지가변동률 상위 5개 현황(%) > |
|||
순위 |
시군구 |
변동률 |
주요 읍면동 |
1 |
경기 파주시 |
9.53 |
군내면(124.14), 장단면(109.90), 진동면(86.68) |
2 |
서울 용산구 |
8.60 |
한강로1가·2가·3가(11.13), 보광동(10.13), 한남동(10.12) |
3 |
서울 동작구 |
8.12 |
노량진동(14.81), 본동,흑석동(12.72), 사당동(7.70) |
4 |
서울 마포구 |
8.11 |
연남동(12.89), 망원동(12.34), 서교동,동교동(10.53) |
5 |
강원 고성군 |
8.06 |
현내면(23.15), 죽왕면(8.38), 토성면(8.14) |
< ’18년 연간 지가변동률 하위 5개 현황(%) > |
|||
순위 |
시군구 |
변동률 |
주요 읍면동 |
1 |
울산 동구 |
-3.03 |
방어동(-4.39), 미포·동부·서부동(-2.69), 전하동(-2.68) |
2 |
전북 군산시 |
-1.92 |
소룡·오식도·비응도동(-6.70), 오룡·금광·삼학동(-5.53), 신풍·송풍·문화동(-4.87) |
3 |
경남 창원성산구 |
-1.17 |
신촌·웅남·성산동(-4.51), 반송·반지·반림동(-1.97), 가음정·가음·남양동(-1.53) |
4 |
경남 거제시 |
-0.65 |
아양·아주동(-5.17), 능포·두모동(-3.82), 장평동(-3.78) |
5 |
경남 창원진해구 |
-0.34 |
남양동(-4.36), 충의·무송·숭인동(-3.88), 경화동(-3.63) |
【 용도지역별 ․ 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 】
□ (용도지역별, %) 주거(5.24), 상업(4.38), 계획관리(4.37), 농림(4.06), 녹지(3.75), 생산관리(3.50), 보전관리(3.01) 순으로 상승했다.
< ’18년 연간 용도지역별 지가변동률(%) >
구 분 |
도시지역 |
비도시지역 |
|||||||
주거 |
상업 |
공업 |
녹지 |
보전관리 |
생산관리 |
계획관리 |
농림 |
자연환경 |
|
2017년 |
4.33 |
3.80 |
2.63 |
3.29 |
2.50 |
2.89 |
3.80 |
2.99 |
2.32 |
2018년 |
5.24 |
4.38 |
2.51 |
3.75 |
3.01 |
3.50 |
4.37 |
4.06 |
2.68 |
□ (이용상황별, %) 주거용(5.16), 상업용(4.66), 전(4.18), 답(4.00), 임야(3.06), 기타(3.01), 공장용지(2.60) 순으로 상승했다.
< ’18년 연간 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(%) >
구 분 |
주거용 |
상업용 |
공장용지 |
전 |
답 |
임야 |
기타* |
2017년 |
4.22 |
3.88 |
2.60 |
3.63 |
3.49 |
2.59 |
2.60 |
2018년 |
5.16 |
4.66 |
2.60 |
4.18 |
4.00 |
3.06 |
3.01 |
* 기타 : 여객자동차터미널, 골프장, 스키장, 염전, 광업용지 등
2. 토지 거래량 |
【 종합 】
□ ’18년 전체 토지(건축물 부속토지 포함) 거래량은 약 318만 6천 필지(2,071.0㎢, 서울 면적의 약 3.4배)로,
ㅇ ’17년(331만 5천 필지) 대비 3.9% 감소(△129,097 필지)했으나, ’16년(299만 5천 필지) 대비 6.4% 증가(+190,545 필지)했다.
□ 거래량은 수도권은 소폭 증가, 지방은 감소*하였으며 특히 지역경기 침체에 따른 부산, 경남, 울산 지역 중심으로 감소**했다.
* 전국(△3.9%), 수도권(1.3%), 지방(△8.0%)
** 부산(△22.1%), 경남(△21.3%), 울산(△18.6%)
ㅇ 한편,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108만 9천 필지(1,906.8㎢)로 ’17년 대비 6.2%, ’16년 대비 2.1% 감소했다.
< 연도별 전체 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 추이 >
(단위 : 필지 수, 신고·검인물량 포함, 신고일 기준)
구 분 |
연도별 |
최근 5년 (’13.~’17.) 평균 |
증감률(%) |
||||
’18년 |
’17년 |
’16년 |
’17년 대비 |
’16년 대비 |
최근 5년 평균 대비 |
||
전체토지* |
3,185,704 |
3,314,801 |
2,995,159 |
2,856,418 |
△3.9 |
6.4 |
11.5 |
순수토지 |
1,088,670 |
1,160,707 |
1,111,974 |
1,060,132 |
△6.2 |
△2.1 |
2.7 |
* 건축물 부속토지 포함
< 연도별 연간 전체토지 거래량 > |
< 연도별 연간 순수토지 거래량 > |
![]()
|
![]()
|
【 지역별 토지 거래량 】
□ (시도별, %) 전년 대비 토지 거래량은 대전(9.9), 경기(6.3), 광주(6.1), 전북(6.0), 전남(3.2)은 증가했고, 부산(△22.1), 경남(△21.3) 등은 감소했다.
ㅇ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(28.5), 대전(12.3), 광주(3.2), 인천(2.9) 순으로 증가했고, 부산(△24.4), 울산(△21.3), 제주(△16.5) 등은 감소했다.
< 연간 전체토지 거래량 증감률 > |
< 연간 순수토지 거래량 증감률 > |
![]()
|
![]()
|